맨위로가기

평택 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 임씨는 고려 말 임언수를 시조로 하는 충정공계와 임세춘을 시조로 하는 전객령계의 두 계통을 가진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했으며, 임경업과 같은 인물을 배출했다. 2015년에는 225,872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라북도 순창군에 인구 비율이 가장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 임씨 - 임수정 (배우)
    임수정은 1998년 모델로 데뷔하여 2001년 드라마를 통해 연기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대중적 인지도와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다.
  • 평택 임씨 - 임해규
    임해규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고 부천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경기연구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백석문화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인이다.
평택 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민족한국 민족
지역평택
창시자(임팔급)
웹사이트평택임씨대종회
역사
기원(임팔급)
창립알 수 없음
구성
주요 인물임견미, 임치, 임정, 임경업, 임병찬, 임예환, 임기호, 임광원, 임내현, 임인배, 임영호, 임해규
연결된 구성원알 수 없음
기타
관향경기도 평택시
중시조임언수(林彦脩), 임세춘(林世春)
집성촌광주광역시 광산구 등임동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충청남도 부여군
경상북도 김천시
2015년 인구225,872명

2. 역사

평택 임씨는 고려 말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임언수'''(林彦脩)를 기세조로 하는 「충정공계(忠貞公系)」와 고려 말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낸 '''임세춘'''(林世春)을 기세조로 하는 「전객령계(典客令系)」의 두 계통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2. 1. 충정공계

평택 임씨는 고려 말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임언수'''(林彦脩)를 기세조로 하는 「충정공계(忠貞公系)」와 고려 말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낸 '''임세춘'''(林世春)을 기세조로 하는 「전객령계(典客令系)」의 두 계통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기세조 '''임언수'''(林彦修)는 아들인 임견미(林堅味)가 고려 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는 등 귀한 신분이 되자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으로 봉해졌다.[6] 혹칭 '''팽성 임씨'''(彭城 林氏)라고도 한다.[7]

임견미의 형인 임성미(林成味)의 6세손 임형수(林亨秀)는 1535년(중종 30) 문과에 급제하여 부제학에 올랐으나,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제주목사로 좌천되었다가 파직되었다.

2. 2. 전객령계

고려 말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낸 '''임세춘'''(林世春)을 기세조로 하는 계통이다.[8]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기세조 '''임세춘'''은 고려 말 세자전객령 겸 연희궁부사를 지냈으며,[8] 그의 증손 임정은 조선 태종조에 형조 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혜(恭惠)이다.[9] 혹칭 '''평성 임씨'''(平城 林氏)라 하며, 평성(平城)은 평택(平澤)의 별호이다.[10]

임정의 7대손인 임경업1624년(인조 1)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정묘호란 이후 친명배청(親明排淸) 무장(武將)으로 활약하였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임경업

3. 인물

임나연, 임나영, 나나, 임세미, 임수정 등이 현대 인물이다.

3. 1. 역사 속 인물

기세조 '''임언수'''(林彦修)는 아들 임견미(林堅味)가 고려 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는 등 귀한 신분이 되자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으로 봉해졌다.[6]

임견미의 형 임성미(林成味)의 6세손 임형수(林亨秀)는 1535년(중종 30) 문과에 급제하여 부제학에 올랐으나,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제주목사로 좌천되었다가 파직되었다.

기세조 '''임세춘'''(林世春)은 고려 말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 연희궁부사(延禧宮副使)를 지냈다.[8] 그의 증손 임정(林整)은 조선 태종조에 형조 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혜(恭惠)이다.[9]

임정(林整)의 7대손 임경업(林慶業)은 1624년(인조 1)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정묘호란 이후 친명배청(親明排淸) 무장(武將)으로 활약하였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3. 2. 현대 인물

4. 항렬자

전객령공파 항렬자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
순(淳)식(植)병(炳)
희(熙)
규(奎)
규(圭)
종(鍾)
석(錫)
호(浩)
수(洙)
동(東)
상(相)
섭(燮)
열(烈)
배(培)
경(坰)
진(鎭)
호(鎬)
태(泰)
철(澈)
모(模)
근(根)
형(炯)
경(炅)


5. 집성촌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북도순창군 (436명, 총인구의 1.82%)이다.[4] 그 외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5]

6.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46,670가구194,550명
2000년65,015가구210,089명
2015년225,872명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북도 순창군 (436명, 총인구의 1.82%)이다.[4]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5]


7. 인구 분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46,670가구194,550명
2000년65,015가구210,089명
2015년225,872명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북도 순창군 (436명, 총인구의 1.82%)이다.[4]

2015년 기준 집성촌이 있는 지역과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

지역인구비율(%)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1,204명0.47%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271명0.45%
경기도 포천시657명0.48%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1,683명0.5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1,881명0.54%
충청남도 서산시1,105명0.71%
충청남도 홍성군827명0.95%
충청남도 청양군312명1.08%
충청남도 보령시705명0.76%
충청남도 서천군321명0.65%
충청남도 부여군522명0.82%
충청남도 논산시797명0.71%
전라남도 나주시519명0.6%
전라남도 담양군296명0.75%
전라북도 고창군319명0.63%
광주광역시 북구2,782명0.65%
광주광역시 동구608명0.63%
광주광역시 서구1,841명0.64%
광주광역시 남구1,341명0.65%
광주광역시 광산구2,984명0.79%
경상북도 고령군200명0.6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1,941명0.49%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1,034명0.79%

[5]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평택임씨 平澤林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4]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5] 웹사이트 임씨(林氏) 본관(本貫) 평택(平澤)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6] 문서 『고려사』 권126, 열전39 https://terms.naver.[...]
[7] 서적 《조선씨족통보》
[8] 문서 《조선씨족통보》부 맹양, 조부 판윤 제미, 증조부 평성부원군 언수
[9] 뉴스 태종실록 25권, 태종 13년 4월 28일 병자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서적 《조선씨족통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